아스퍼거 증후군은 최근에 TV프로그램 등 언론을 통해 많이 알려졌습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또한 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었죠. 실제 스티브 잡스, 일론 머스크와 같이 천재들이 앓았던 질환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아스퍼거 증후군은 정확히 어떤 증상과 어떤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뜻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비슷하지만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대인관계에 있어 어려움을 보이고, 행동이나 관심분야가 한정되어 있으며, 반복적인 행동 증세를 보이는 질환을 아스퍼거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즉, 지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닌 지능은 뛰어나지만 특정 분야에만 관심이 있어 그 분야에서만 뛰어난 지능을 보입니다. 다른 분야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지능 또한 일반인보다는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 사회적으로, 직업적으로 어려움을 많이 겪을 수 있습니다.
현재는 여러 사이트에서 특정 사회성이 결여된 사람들을 비하하는 멸칭으로 쓰이고 있어 안타깝습니다. 정확한 뜻을 알지 못하고 그저 멸칭으로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데요, 아스퍼거 증후군에 명확한 뜻을 알고 이런 멸칭을 사용하는 것을 자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역사
1944년 오스트리아 소아과 한스 아스페르거에 의해 최초로 정의가 되었으며 본인의 이름 '아스페르거'에서 본떠 아스퍼거 증후군이 탄생되었습니다.
‘사회에서 공감 능력, 의사소통 능력 결여, 특정 흥미 몰두, 어색한 행동’등 특수한 패턴은 기존에 알고 있던 보통 자폐증 질환과는 또 다른 행동을 보이고 있기에 한스 아스페르거는 이런 별도의 명칭을 붙이게 되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 1. 특정분야 집착
관심분야가 한정되어 있고, 그 분야에 대한 집착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다른 분야에는 관심을 가지지 못해 대체적으로 대화에 끼지 못하거나 다른 행동을 보이게 되죠. 말하기를 좋아하기도 하지만 대화가 매끄럽게 이어나가지 못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 2. 공감능력 결여
상대방의 얼굴표정, 몸짓 등 비언어적인 요소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뿐만 아니라 본인 또한 의사소통 중에 표정, 몸짓이 없습니다. 농담을 이해하지 못하며,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와 행동을 공감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눈치가 없다는 말을 많이 듣게 되죠.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 3. 주변환경 영향이 큼
소리나 접촉에 예민한 편으로, 예상치 못한 상황을 견디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복적이고 변화가 적은 일상에 안정감을 얻는 모습이 보이게 되죠. 정해진 규칙을 철저하게 지키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테스트
- 표정이나 몸짓, 비언어적인 표현이 힘들다. (눈을 마주치지 않거나 표정으로 좋고 싫음을 표현하지 못합니다.)
- 교우 관계 발달의 어려움 (다른 사람들에게 큰 관심이 없으며 대체적으로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합니다.)
- 상대방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나누려고 하지 않으려 한다.
-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며, 상대방의 감정 또한 공감이 어렵다.
- 한 가지 이상의 제한된 관심과 집착. (정해진 규칙을 철저히 지키려는 경향, 변화에 대한 극심한 저항이 있어 똑같은 옷을 입거나 행동, 취미 등을 반복합니다.)
- 반복되는 운동성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손가락으로 책상을 두드리거나, 몸을 앞뒤로 흔드는 행동)
- 대상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 대한 집착
- 눈치가 없거나 독특하다는 평가를 많이 받음
- 대화를 이어나가기 어려움
- 돌발적인 상황에 대처가 서투름
아스퍼거 증후군 치료
인지치료, 사회기술훈련, 약물치료, 행동수정치료, 가족상담 등 치료가 있습니다.
소량의 약물치료만으로도 큰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연구도 있는데요, 의사와 상담을 통해 올바른 방법으로만 치료하게 된다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를 한다면 훨씬 나아지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혹시 내가 아스퍼거 증후군은 아닐까?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많을 텐데요, 실제 고지능자, 너드의 특징이 아스퍼거 증후군과 상당히 일치하기도 하며, INTP, ENTP, INTJ, ISTJ, ISTP, INFP, ISFP, INFJ의 특징 또한 이 증후군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만약 일상적인 사회생활에 지장이 없다면 섣불리 판단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래도 만약에 증후군 증상과 상당히 흡사하고, 심각하다고 느껴진다면 종합심리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변에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그런 사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